약물 부작용은 간 기능 이상으로 피부색부터 노랗게 변함
간 기능이 나빠지면 이상이 생겨도 통증이 없어 간에 이상을 발견하였을 때 이미 늦은 경우가 허다합니다.
주변에 간이 나쁜 분들을 보면 피부가 노랗게 변한 분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간에서 빌리루빈 물질이 과도하게 생성이 되거나 몸 밖으로 배출이 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따라서 얼굴과 손이 노랗게 변하거나
눈동자의 흰자위가 노란빛을 띠면
간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간 기능에 손상이 되는 약물을 장기 복용하고 계시다면
다음 약물의 부작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간세포 손상
| 간세포 손상은 간세포의 괴사, 지방간염 (간세포내에 지방산의 축적으로 인한 괴사) 또는 인지질증 (간세포에 지방산 대신 인지질이 축적되는 것)을 말합니다. 간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해열 · 진통 · 소염제: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아스피린 (Aspirin), 디클로페낙 (Diclofenac) 2) 통풍치료제: 알로푸리놀(Allopurinol) 3) 항우울제: 플루옥세틴(Fluoxetine), 네파조돈(Nefazodone), 파록세틴(Paroxetine), 설트랄린(Sertraline), 트라조돈(Trazodone) 4) 마취제: 할로탄(Halothane) 5) 항결핵제: 이소니아짓(Isoniazid), 피라진아미드(Pyrazinamide), 리팜핀(Rifampin) 6) 항생물질제: 케토코나졸(Ketoconazole) 7) 고혈압 치료제: 리지노프릴(Lisinopril), 로자탄(Losartan), 메칠도파(Methyldopa) 8) 항바이러스제제: 네비라핀(Nevirapine) 9) 항경련제: 페니토인(Phenytoin), 발프로산(Valproate) 10) 정신분열증 치료제: 리스페리돈(Risperidone) 11) 감염 치료제: 리토나비어(Ritonavir),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12)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제제(Statins) 13) 기타: 에탄올(Ethanol) |
2. 담즙정체성 손상
| 담즙정체성 손상은 담즙의 이동을 방해함으로 간에서 담즙제거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독성 담즙산이 축적되어 간의 기능을 손상시킵니다. |
1) 항생제: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Amoxicillin-Clavulanate),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2) 정신질환 치료제: 클로로프로마진(Chlorpromazine) 3) 항혈소판제제: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4) 항암제: 시타라빈(Cytarabine) 5) 고혈압 치료제: 이르베사르탄(Irbesartan) 6) 해열 · 진통 · 소염제: 설린닥(Sulindac) 7) 항진균제: 테르비나핀(Terbinafine) 8) 기타: 에스트로겐(Estrogens), 에탄올(Ethanol) |
3. 간기능 손상(혼합형)
| 간세포 손상과 담즙정체성 손상이 함께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초기 간손상 혹은 담즙정체성 손상으로만 시작됐으나, 질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모든 간부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1) 항고혈압제: 캅토프릴(Captopril) 2) 항경련제: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페니토인(Pheytoin) 3) 항생제: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4) 고혈압치료제: 에날라프릴(Enalapril), 베라파밀(Verapamil) 5) 항암제: 플루타미드(Flutamide) 6) 해열 · 진통 · 소염제: 이부프로펜(Ibuprofen) 7) 요로감염 치료제: 니트로퓨란토인(Nitrofurantoin) 8) 항우울제: 트라조돈(Trazodone) 9) 기타: 시프로헵타딘(Cyproheptadine) |
4. 과다 복용 시 간 기능 이상 유발하는 약물
본래 용량에서는 간독성이 없으나, 용량이 증가되면 간독성을 일으키는약물도있습니다. 정해진 용량내에서 사용할 경우, 간기능 이상을 유발할 확률은 적으나, 많은 양을 복용할 경우, 간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같습니다. |
1)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용량이 증가할수록 간세포 괴사 및 세포 자멸 유발 2)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Cyclophosphamide): 용량이 증가할수록 간세포 괴사 유발 (aminotransferase수치가 증가하면 더욱 악화) 3)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용량이 증가할수록 담즙정체 유발 |
반응형
'Health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의해야 할 약물 복용 (0) | 2024.07.07 |
|---|---|
| 피해야 할 음식과 약물 (0) | 2024.07.06 |
| 독이 되는 약물 상호작용 (0) | 2024.07.03 |
| 독이 되는 건강식품과 약의 상호작용 (0) | 2024.06.23 |
| 두통이나 어지럼증으로 MRI 보험 적용 (1) | 2024.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