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질병정보17 의료관련 다제내성균 감염병 의료 관련 다제내성균은 병원 내 감염으로 발생한 감염병 병원체입니다.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siated infection, HAI) 다제내성균 (MDRO,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은 입원 당시에 없었으며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에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균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통상적으로 환자가 입원한지 48시간 후에 발생한 감염을 일컬으며,퇴원 후 14일 이내에 발생하는 감염,그리고 수술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수술부위감염도 의료관련감염에 포함됩니다. 다제내성균 감염병은 일반적인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워 감염 시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병원 내 전파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의료관련 지정감염병으로 지정된 다제내성.. 2025. 9. 27. 노인 만성콩팥병 막을 수 있어요 만성콩팥병이란 콩팥(신장) 기능이 감소하거나 손상이 3개월 이상 지속하는 만성질환입니다.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이나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성콩팥병이 무서운 이유 콩팥(신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 균형을 포함한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침묵하는 장기로 불릴 만큼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뒤늦게 발견되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7~8명 당 1명은 만성콩팥병이 있으나,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70세 이상에서는 5명 중 1명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입니다. 또한 치료를 위한 비용도 투석이나 콩팥 이식 등 1인당 소요되는 의료비 지출이 가장 많이 지출되는 질병입니다. 더욱 무서운 것은 사구체 여과.. 2025. 8. 21. 노인 흡인성 폐렴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은 흡인 또는 삼킴 곤란과 관련된 폐 감염입니다. 즉, 음식물이나 액체를 먹거나 마실 때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길로 잘못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폐렴입니다.특히 고령 노인들에게 두드러지게 자주 발생합니다. 주로 75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 환자의 72.5%로 높게 나타내고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많으며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신경계질환, 심혈관계 질환,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동반하는 질환이 있을 경우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습니다.2. 흡인성 폐렴 환자 특성 흡인성 폐렴 노인은 대부분 독립적으로 보행이나 식사가 불가능하고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있으며 1/3 이상이 영양 불량 상태를 보이고 혈.. 2025. 4. 23. 노년기 폐렴 나이가 들면서 면역체계가 약해지는 노년기는 독감과 싸우는 동안 폐렴 같은 2차 감염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1. 노년기 폐렴 노년기는 심폐 질환 또는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이 더 흔하기 때문에 젊은 사람보다 폐렴에 더 취약합니다. 노인이 폐렴에 걸리면 종종 젊은 사람들보다 증상이 덜 나타나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발열이나 가래를 동반한 기침과 같은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설사나 의식의 변화와 같은 다른 증상이 더 눈에 띄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노인의 경우 기침, 오한, 발열과 같은 전형적인 증상은 빈도가 낮으며, 발열에 비해 오히려 정상보다 낮은 체온과 같은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저체온, 혼란, 방향 감각 상실 또는 섬망이 나타날 수 있어 이로 인해 노인의 경우 폐렴.. 2025. 1. 23. 다제내성균이 왜 문제인가요? 다제내성균은 무엇인가요? 다제내성균(MDRO; Multidrug-Resistant Organisms)은 3개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이 있는 미생물을 가리킵니다. MDRO는 주로 박테리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경우 의료진의 치료가 어려워집니다. 주로 수술이나 감염성 질환 등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거나 영유아나 면역저하가 있는 노인에게 MDRO가 발생합니다. MDRO는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건강한 사람은 MDRO에 감염될 위험이 낮습니다 다제내성균은 왜 생기나요? 1928년 플레밍이 발견한 페니실린이 세균 감염으로 죽어가는 생명을 엄청나게 많이 살려냈지만 이제는 다제내성균이 항생제의 효능을 위태롭게 하고 있습니다. 다제내성 박테리아 미생물은.. 2024. 12. 18. 노인 관상동맥질환 노인 질환 발현의 주요 특징은 관상동맥이 막히는 것입니다. 1. 노인질환의 주요 특징 65세 이상 환자의 주요 특징은 다발성 질환입니다. 두 개 이상의 만성 질환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인 인구의 80%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으며, 68%는 두 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노인 질환은 젊은 성인보다 관상동맥경화증이 더 광범위하고, 다혈관 질환의 유병률이 높으며, 좌측 주요 관상동맥이 막히는 것입니다. 이는 노화 과정에서 관상동맥을 경화시키는 원인과 함께 복합적으로 축적된 결과로 관상동맥경화증(coronary artery sclerosis; CAD)이 진행됩니다. CAD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신체 활동.. 2024. 7. 17. 노인 무혈성 골괴사 노인 무혈성 골괴사증은 뼈에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하며이로 인해 뼈조직이 죽고 뼈가 약해져 결국 무너지는 질병이며이 과정은 몇 달에서 몇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1. 발병 원인무혈성 골괴사증(Avascular Necrosis Osteonecrosis; AVN)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특정 원인을 찾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무혈성 골괴사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는 젊은 환자의 고관절 파괴로 이어지는 쇠약해지는 상태입니다.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를 겪는 환자의 평균 연령은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보다 훨씬 젊습니다. 하지만 노인의 경우, 스테로이드를 많이 사용한 노인은 골세포가 손실되고, 대퇴골두의 순환을 방해하.. 2024. 6. 18. 노인 고관절 골절 노인 고관절 골절은 일부 암보다 더 치명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 1. 노인 고관절 골절의 원인과 위험성 고관절은 골반골과 대퇴골이 만나는 부위로, 체중을 지탱하고 다리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원래는 골절 위험이 낮지만, 고령이나 골다공증 등으로 골밀도가 낮아지면 골절의 발생 빈도가 높아집니다. 65세 이상 노인의 고관절 골절의 원인은 90% 이상이 낙상입니다. 노인 고관절(엉덩이관절) 골절은 골절 중에서도 특히 주의해야 할 골절로 손꼽습니다.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면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다리를 구부리거나 돌리지 못하고 걷기는커녕 서 있기도 어렵습니다. 체중을 지탱하고 걷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관절이 부러지면 다른 곳이 골절됐을 때보다 움직임이 더 제한됩니다. 이로 인해 장기간 .. 2024. 6. 11. 노인 척추 압박골절 골밀도가 낮은 노인은 척추 압박골절 다빈도 발생 1. 골다공증과 척추 압박골절 원인과 증상 뼈의 특성상 골다공증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초기 증상 중 하나는 척추뼈가 약해져서 척추가 후만 변형되거나 압박되어 키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심한 경우 척추가 체중을 지탱하지 못해서 외상이 없더라도 척추의 앞부분이 일그러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 비정상 척추 만곡을 초래합니다. 골다공증으로 약해진 척추 뼈는 만성화되면 정상적인 스트레스와 압력을 지탱할 수 없게 될 수 있어 기침을 하기만 해도 골절의 위험이 커집니다. 심할 경우, 허리를 구부리거나 물건을 들어 올리는 간단한 행동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습니다. 손목, 척추, 대퇴골 부위에 골절이 골다공증에서 흔히 발생하는 골절입니다. 그.. 2024. 6. 2. 노인 골감소증 노인 골감소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질병골절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간과될 수 있습니다. 1. 노인 골감소증 위험요인 노화는 골감소증(osteopenia) 발병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다면, 이는 골감소증의 증상이 아닙니다. 이러한 관절 통증은 폐경기 증상, 퇴행성 관절염, 류머티즘 질환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점점 근육이 약해지는 현상, 즉 근감소증을 겪게 되고, 뼈 또한 약해지는 골감소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근감소증과 골감소증은 결국 골다공증(osteoporosis)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뼈가 약해져서 구멍이 생기는 병입니다. 이러한 소리 없는 질병은 심각한 낙상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골감소.. 2024. 6.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