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보험에서 진단비와 치료비를 받기 위해서는 CDR 척도와 ADL 평가 등 특정 검사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단순히 진단서만으로는 보험금 지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치매보험의 진단비 및 치료비 지급 조건은 다음과 같은 검사 기준에 따릅니다.
1. 치매보험 진단 기준 CDR 척도
CDR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는 치매의 진행 정도를 0.5~3점으로 평가하며 일반적으로 CDR 평가점수 별 보험보장과 보험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 CDR 척도 (Clinical Dementia Rating, 임상치매척도) 치매 보험 기준 | |||
| 평가점수 | 치매 등급 | 보험 보장 설명 | 평균 보험지급액 |
| 0.5~1점 | 경도 치매 | 보험 보장 제외되거나 제한적 보장 | 500만 원 |
| 2점 | 중증도 치매 | 부분 보험 보장, 간병 필요 시작 | 1000만 원 |
| 3점 | 중증 치매 | 전액 보험 보장, 완전한 간병 필요 | 3000만 원 |
2. 치매보험 진단기준 ADL평가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인 일상생활 수행 능력 평가는 개인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얼마나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치매보험이나 장기요양보험 등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치매보험 해당 기준은 식사, 옷 입기, 배변 관리, 이동 등 6개 항목 중 3개 이상 수행 불가 시 인정합니다. 일부 보험사에서는 ADL 평가 중 2개 항목 이상 수행 불가만으로도 지급하는 상품도 있지만 대부분 보험금 지급 조건에는 일상생활 장해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 수행) 능력 평가 항목 | ||
| 평가 항목 | 항목 수행 가능 여부 | 독립 수행 기준 |
| 식사하기 | 스스로 식사할 수 있는지 여부 | 음식 섭취 가능 |
| 옷 입기 | 상·하의 및 속옷을 스스로 입고 벗을 수 있는지 여부 | 옷 입고 벗기 가능 |
| 배변 조절 | 대소변을 스스로 조절하고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 | 화장실 사용 가능 |
| 배뇨 조절 | 소변을 스스로 조절하고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 | 기저귀 없이 화장실 사용 가능 |
| 이동하기 | 침대에서 일어나거나 의자에서 일어나는 등 기본적인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 | 보조기구 없이 이동 가능 |
| 목욕하기 | 전신 또는 부분 목욕을 스스로 할 수 있는지 여부 | 혼자 씻을 수 있음 |
3. 치매보험을 위한 진단서 요건
신경과 전문의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서가 필요하며 진단서에는 ICD-10 질병코드 기준으로 치매 진단명 명시되어야 합니다. 치매 질병코드는 F00~F03 범위로 분류되며, 가장 대표적인 코드는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입니다. 아래는 주요 치매 관련 ICD-10 질병코드와 진단명입니다.
전문의 진단서에 해당 ICD-10 코드가 명확히 기재되어야 보험금 지급 심사에 유리하며 F00~F03 코드 외에 도 G30(알츠하이머병) 코드가 함께 병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보험사는 F03(상세불명 치매) 코드만으로는 보험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명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 ICD-10 질병코드명 치매 | ||
| 코드 | 진단명(한글) | 진단명(영문) |
| F00 |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
| F00.0 |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with early onset |
| F00.1 | 만기발병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with late onset |
| F00.2 | 비정형 또는 혼합형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atypical or mixed type |
| F01 | 혈관성 치매 | Vascular dementia |
| F02 |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 Dementia in other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 F03 | 상세불명의 치매 | Unspecified dementia |
4. 치매보험 청구 및 보험 비교
보험 청구 시 CDR 0.5점 경도 치매만으로는 보험금 지급 거절 사례가 많으며 진단서에 질병코드 누락, ADL 평가 미포함 등 서류 미비 또는 진단 기준 미충족 시 거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험금 지급 조건은 치매 확진 시 치매 진단비는 일시금으로 지급합니다. 중증도 이상일 경우 치매 보험금이 월 지급형으로 구성된 상품도 있으며 치료비와 간병비를 특약으로 가입하는 경우 KB라이프생명은 중등도 이상 시 매월 100만 원씩 7년간 지급을 보장합니다. 다음 표는 국내 치매진단 시 보험금 지급이 높은 순으로 보험회사별로 비교한 내용입니다.
| 국내 주요 보험사 치매 진단비 지급 비교 (2025년 기준) | ||||
| 보험사 | 보험 상품명 | 치매 진단비 | 치매보장 여부 | 간병비 지급 방식 |
| KB라이프생명 | KB치매간병보험 | 최대 3,000만 원 | 보장 (CDR 1 이상) | 월 100만 원 × 7년 |
| 삼성생명 | 삼성치매케어보험 | 최대 2,000만 원 | 제한적 보장 | 일시금 + 월지급 혼합형 |
| 한화생명 | 한화치매보험 | 최대 2,000만 원 | 보장 (단, 조건 있음) | 일시금 지급 |
| 교보생명 | 교보치매플랜보험 | 최대 1,500만 원 | 경도 치매 보장 안됨 | 일시금 지급 |
| DB생명 | DB치매보장보험 | 최대 1,000만 원 | 경도 치매 보장 안됨 | 없음 |
| 메리츠화재 | 메리츠치매보험 | 최대 1,000만 원 | 보장 (CDR 1 이상) | 없음 |
다음 표는 2025년 기준, 치매 중증도 이상(CDR 3점 이상) 일 때 간병비와 치료비 특약을 통해 보험금을 가장 많이 지급하는 보험사는 KB라이프생명, 삼성생명, 동양생명 순입니다.
| 중증도 이상 치매 간병비·치료비 특약 보험금 지급 순위 | ||||
| 보험사 | 보험 상품명 | 중증 치매 간병비 | 특약 지급 보험금 | 지급 |
| KB라이프 생명 |
골든라이프 치매건강보험 |
월 100만 원 × 7년 (총 8,400만 원) |
월지급형 + 진단비 병행 | 간병비와 진단비 모두 보장, CDR 3 이상 기준 |
| 삼성생명 | 종합간병보험 | 월 100만 원 × 5년 (총 6,000만 원) |
월지급형 + 일시금 병행 | 간병비 외 생활자금 특약 포함 |
| 동양생명 | 수호천사 치매간병보험 |
월 80만 원 × 5년 (총 4,800만 원) |
월지급형 | 간병비 중심, 진단비는 별도 |
| 한화생명 | 한화치매보험 | 일시금 최대 2,000만 원 | 일시금 지급 | 간병비 특약 없음 |
| 메리츠화재 | 메리츠치매보험 | 일시금 최대 1,500만 원 | 일시금 지급 | 경증 치매 보장 포함 |
'Health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장내 미생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0) | 2025.11.17 |
|---|---|
| 기억력이 좋아도 치매인 경우에 가족 돌봄 (0) | 2025.11.11 |
| 치매 진단 받을 수있는 CDR 평가등급 알아보기 (0) | 2025.11.06 |
| 와파린 복용시 주의사항 (1) | 2025.09.17 |
| 독감예방접종을 무료와 유료로 맞는 방법 (1) | 2025.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