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건강정보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장내 미생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by 따논당상 2025. 11. 17.

장내 미생물은 위장관 내 약 100조 이상의 공생 미생물로 이루어진 다양하고 역동적인 군락입니다. 이들의 불균형은 미생물총-장-뇌 축을 통해 뇌 면역 항상성과 알츠하이머병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에 영향을 줍니다. 또한 장내 미생물총의 이상은 장 투과성과 혈관-뇌장벽을 교란시키며 지질다당류와 아밀로이드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1. 장내미생물과 치매 예방 연구

 

 

 

장내미생물은 신경전달물질과 면역 반응을 통해 뇌 건강에 영향을 주며, 알츠하이머 환자에서는 다양성 감소와 염증성 균 증가가 인지 저하와 관련됩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산화 스트레스와 신경 염증을 촉진해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에 기여하며, 식이·프로바이오틱스·분변 미생물 이식이 잠재적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또는 장내 미생물총(Gut microbiota) 유산균은 치매 예방 및 진행 억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계열의 프로바이오틱스가 인지기능 개선과 염증 억제에 도움을 준다는 근거가 있습니다.

 

2. 치매 예방에 좋은 유산균

 

국내에서는 종근당, 일동제약, CJ바이오사이언스 등에서 관련 제품을 시판하거나 연구개발 중입니다. 약국이나 온라인에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중, 치매 관련 연구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된 균주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적 주요 균주 주요 특징
영문명 국문명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항염증 작용, 기억력 개선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스트레스 완화, 뇌-장 신호 조절
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인지기능 개선, 장내 환경 안정화, 노화 관련 염증 억제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장내 유해균 억제, 소화 개선, 면역력 강화, 대중적인 유산균 제품
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장내 환경 안정화, 유아 및 성인 모두에게 유익

 

 

 

치매 예방과 관련성이 높은 균주를 포함한 유산균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제품명 주요 균주 유산균 제품 특징
종근당 락토핏
(Lacto-Fit)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국내 대표 유산균 브랜드, 장 건강 및 인지 기능 보조
일동제약 지큐랩
(GQ Lab)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longum 장내 환경 개선, 뇌 건강 연구 기반
CJ바이오사이언스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bifidum 장내 균형 회복 및 스트레스 완화
듀오락 프로바이오틱스 Bifidobacterium bifidum 장내 환경을 안정화하며 염증 완화
닥터 포뮬레이티드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장내 유해균 억제, 소화 및 면역 기능 강화

 

3. 마무리하면서

 

 

 

마이크로바이옴(장내미생물총) 유산균은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적 근거가 있으며, 국내에서는 종근당 락토핏, 일동제약 지큐랩, CJ바이오사이언스 제품 등이 시판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유산균은 예방적이고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치매 치료제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치매 예방을 위해 유산균 제품 선택 시 성분표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longum 등이 포함된 제품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균의 치매 예방 효과는 개인의 장내 환경에 따라 다르므로, 장기간 꾸준히 섭취해야 의미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들 균주는 모두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서 흔히 발견되며, 장 건강뿐 아니라 뇌 건강 및 치매 예방 연구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